시민단체, 일본대사관 앞(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반대 기자회견 가져

우리 정부,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 저지에 적극 나서야
일본산 수산물 전면 수입금지 검토 등 후속 조치 마련하라

시민방사능감시센터, 환경운동연합이 19일 오전 11시 일본대사관 앞(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방류 결정 반대 기자회견을 가졌다.

최준호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최경숙 시민방사능감시센터 활동가의 규탄 발언에 이어 송주희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국 활동가가 기자회견문을 낭독했다.

▲ 스가 총리가 방사성 오염수를 들고 안전하다고 표현하는 장면을 연출하고 있다.
▲ 스가 총리가 방사성 오염수를 들고 안전하다고 표현하는 장면을 연출하고 있다.

시민방사능감시센터와 환경운동연합은 후쿠시마 오염수가 실제로 방류되면 바로 영향을 받는 것은 우리나라. 이미 후쿠시마 대학을 비롯한 여러 대학의 연구를 통해 후쿠시마 사고 당시 방출된 오염수가 1년 만에 동해안에 도달했음이 밝혀졌다.

문제는 단순히 방사능 오염수가 우리 동해 바닷물과 섞이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우즈홀 연구소 부셀러 박사는 방사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 해양에서 서로 다르게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탄소14의 경우 삼중수소와 비교하면 생물 농축 지수가 5만 배에 이르고, 코발트60의 경우는 삼중수소보다 해저 퇴적토에 30만 배나 더 잘 결합하기 때문에 해양생태계와 인간에게 잠재적으로 훨씬 위험하다”며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오염수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이 생태계와 환경에 축적되어 어떤 재앙을 불러올지 장담할 수 없는 것이다.

시민방사능감시센터와 환경운동연합은 “일본 정부는 전 세계 환경을 위협하는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를 결정을 철회하고, 방사능 오염수의 장기 저장을 위한 정책으로 전환하라”고 주문했다.

또한 우리 정부도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저지를 위해 지금보다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국제적 공론화를 통해 일본 정부를 압박하고, 일본 정부가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을 철회하지 않는다면, 후쿠시마를 포함한 8개현의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를 일본산 수산물의 전면 수입 금지로 확대하는 등의 후속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력 주장했다.

<조혜영 기자>

저작권자 © 참좋은환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