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자원순환공사로 전환해야”

“수도권 최고 대체 매립지는 수도권매립지 뿐”
쓰레기는 발생지에서 처리하는 게 원칙

▲ 신창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
▲ 신창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

“수도권 매립지는 이제 매립 위주 보다 자원순환으로 가야하며, 거기에 맞춰 공사 이름도 자원순환공사로 바꿔야 합니다.”

신창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은 최근 드림파크 내 가든에서 한국환경전문기자협회(회장 김병오)와의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자원순환공사로의 변화를 위해 강 드라이브를 걸었다.

수도권 매립지는 2025년 사용 종료를 앞두고 수도권 지자체가 대체매립지 부지 선정 및 조성에 난항을 겪고 있으며, 매립지 존치가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신창현 사장은 “수도권의 대체매립지는 현재 수도권매립지가 답이다”라며 현재의 수도권매립지 존치를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그는 “쓰레기는 발생지에서 처리하는 게 원칙이며 인천지역 쓰레기는 수도권매립지에서 처리하는 게 맞다”며, 현재 인천시가 영흥도에 매립장을 추진하고 있는데 대해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이는 지역 주민의 반대의견과 진입도로 신설에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등 수많은 난제를 감수하면서까지 대체매립지를 찾는 것이 옳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공사는 폐기물처리시설에 반입되는 폐기물에 대해 징수한 수수료의 1/10 범위 안에서 시설의 종류, 규모, 주변영향지역 안에 거주하는 세대수, 환경상 영향의 정도 등을 적용해 산정한 금액과 기금의 운용으로 인한 수익금 등을 재원으로 조성해 주민지원 사업을 하고 있다.

▲ 양묘온실에서 재배 중인 각종 식물
▲ 양묘온실에서 재배 중인 각종 식물

특히 인천시에 반입 수수료 가산금 50%만 1년에 800억 원씩 주고 있으며, 주민 지원기금으로 매년 180억 원씩 지원하고 있는 곳은 공사뿐이라는 것이 신 사장의 설명이다.

이렇듯 “인천의 가장 큰 대기업인 현대제철보다 더 많은 지방 재정 기여를 하고 있는 곳이 바로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라고 신 사장은 강조했다.

현재 수도권매립지는 친환경적으로 잘 가동되고 있으며, 폐기물 반입량이 급감하고 있다.

2001년 7월 공포된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수도권에서는 2025년에 건설 폐기물 매립이 금지되고 2026년에는 종량제 쓰레기 매립이 금지 된다.

이에 따라 매립지에 반입되는 매립 폐기물은 사업장폐기물(소각재, 불연물 등)만 남게 되며, 2026년부터 매립량이 1/10로 감소되어 매립장의 수명이 점차 더 늘어나고 있는 시점이 된다.

수도권매립지 관계자도 “쓰레기 반입량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작년 하루 평균 1만2000톤이 반입되었으나 올해는 7800톤으로 줄어들었다. 10년 전만 하더라도 하루 평균 3만5000톤이 들어온 것을 감안하면 그만큼 쓰레기를 자원화하는 기술과 정책이 발전해 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도권매립지 공사가 지난 30년 동안 1매립장과 2매립장에서 나오는 메탄가스로 생산한 전기 판매 금액이 4400억 원에 달한다. 이제는 매립을 최소화하고 자원순환의 효율성을 높이는 형태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 신 사장의 설명이다.

▲ 침출수 처리장
▲ 침출수 처리장

수도권매립지 내에는 시간당 50MW의 전기를 생산 할 수 있는 발전 설비가 있다.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메탄 가스를 전량 사용해 2007년부터 현재까지 승용차 340만대가 내뿜는 메탄가스를 감축했다.

현재 수도권매립지는 1992년 폐기물 반입을 처음 시작한 이후 서울, 경기, 인천의 64개 시·군·구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받고 있으며 제 1매립장과 제 2매립장의 매립을 마치고 현재 사용 중인 제 3-1매립장에 매립이 약 50%가량 진행되고 있다.

신 사장의 매립지와의 인연은 30년 전. 1992년 처음 수도권 쓰레기 대란이 났을 때, 김포군 검단면 주민대책위·서포구 백석동 주민대책위가 공동으로 주민 토론회를 개최했다. 그때 신 사장은 환경정책연구소장으로 수도권 매립지의 문제점과 개선에 대한 참석자 발표를 했다.

30년이 지난 지금 공사의 사장이 될 지는 꿈에도 생각 못했다는 신 사장은 이제 공사의 수장으로서 수도권매립지의 개선을 위해 앞장서고 있다.

<조혜영 기자>

저작권자 © 참좋은환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