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기후변화센터, 국립환경과학원·한국우주과학회와 온실가스 관측 초소형 위성 개발 포럼 개최
​​​​​​​“초소형 위성 개발 위해 배출원 탐지 등 측정기준 과학적 목표 명확히 해야”

[조혜영 기자] ()기후변화센터(이사장 유영숙 환경부장관)가 지난 1일 부산에서 온실가스 관측 초소형 위성 개발 포럼을 개최했다.

최근 위성 관측을 활용한 온실가스 통계 품질을 높이고 국가/지역별 탄소중립 계획을 효과적으로 수립하는 추세가 높아지고 있기에 이번 포럼에 많은 관심이 쏠렸다.

특히 초소형 위성은 단기간, 저 비용으로 개발이 가능하고 여러 대 군집 관측을 통해 유연하고 시의적절한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유명수 기후대기연구부장은 개회사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지역단위 온실가스 배출 감시 등을 위해 2027년에 관측 위성 발사를 기획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포럼에 참가한 참가자들이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포럼에 참가한 참가자들이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기후변화센터 김창섭 정책위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원을 정확히 모니터링해 국제사회와 대화할 수 있는 툴 마련을 위해 초소형 위성 개발 필요하고 우주산업과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하기를 바란다라고 기대했다.

김준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교수는 위성기반 기후기술 동향 및 우주산업 발전 방향을 발표하며 초소형 위성 개발을 위해 배출원 탐지, 배출원 범위, 배출량 산정 등 측정기준의 과학적 목표를 명확히 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김해동 경상국립대학교 항공우주 및 소프트웨어 공학부 교수는 국내외 초소형위성 개발 동향을 발표하며 누리호에 탑재된 국내 첫 군집위성 도요샛(SNIPE)의 기술력 통해 초소형 위성의 위상이 달라졌다라고 밝혔다.

NASAGoddard Space Flight Center 김우경 박사는 온실가스 관측 초소형 위성 관련 탑재체 및 알고리즘 개발을 발표하며 “CO2 배출량 파악 범위와 계측 알고리즘이 상당 수준에 이르렀으나 좁은 영역의 배출원 측정엔 극복해야 할 한계들이 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한국환경연구원 대기환경연구실 심창섭 선임연구위원은 온실가스 배출량 모니터링 고도화를 위한 국제협력 방안을 발표하며 국제사회도 구속력을 갖춘 과학적 방법의 framework를 추구하며 배출량 산정을 전년도 기준으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진 토론서 ()기후변화센터 김소희 사무총장은 “CO2 감축기술 개발이 어려운 상황에서 현재 기술로 감축이 가능한 에너지 분야 메탄 감축에 글로벌 대응이 심화하고 있다. 우리도 위성 개발에 성공해 감축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정보관리팀 김문정 연구사는 “CO2 GWP가 높은 F-gas와 메탄의 측정이 중요하다. 산정불확도가 높은 상황에서 위성 자료 활용이 유리한 역할을 할 것이다이라고 밝혔다.

건국대학교 사회환경공합부 우정현 교수는 위성 데이터로 역산해 배출량을 평가하는 시스템 속에서 다각적 전문분야의 융합이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에스아이아이에스 김문규 대표는 "온실가스 관측 위성 데이터가 경제적, 상업적으로 연결되는 '뉴스페이스' 시대를 맞이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위성센터 허국영 연구관은 메탄을 포함한 온실가스 관측 위성 개발을 조속히 추진해 과학적 데이터 기반 탄소중립 지원을 강화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참좋은환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