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비, 농업에 피해 주는 멧돼지․고라니․청설모․말벌의 천적

▲ 무인센서카메라에 촬영된 담비 사진(환경부 제공)
▲ 무인센서카메라에 촬영된 담비 사진(환경부 제공)

담비가 남한에서 자취를 감춘 호랑이를 대신해 최상위 포식자로서 입지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14일 지난 4년간 원격무선추적, 무인센서카메라, 먹이분석 등을 활용한 담비(멸종위기Ⅱ급)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결과, 담비는 대형동물을 연중 사냥하는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이자, 넓은 행동권을 지닌 우산종(Umbrella species)으로서 생태계 보전에 활용 가치가 큰 동물임이 밝혀졌다.

우산종은 행동권이 큰 동물의 서식지 보전이 공간 내 다른 종들을 함께 보호해 생물다양성이 유지된다는 개념으로서, 미국 옐로우스톤의 불곰, 인도와 러시아의 호랑이 등을 들 수 있다.

배설물(414점)을 통한 먹이분석 결과, 포유류의 경우 농민과 마찰을 빚는 주요 동물들의 천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멧돼지․고라니 등의 대형포유류가 먹이의 8.5%를 차지하며, 이는 담비 1무리(3마리)가 연간 고라니(성체) 또는 멧돼지(새끼) 9마리를 사냥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담비가 사냥한 고라니 사체(눈 위의 담비 발자국 45.5㎞를 추적하던 중 발견).
▲ 담비가 사냥한 고라니 사체(눈 위의 담비 발자국 45.5㎞를 추적하던 중 발견).

담비의 먹이구성은 동물성 50.6%(포유류 29.1%, 조류 11.7%, 꿀 6.2%, 곤충 2.4%, 양서․파충류 1.1%), 식물성 49.4%(다래, 버찌, 머루, 감 등 열매)이다. 먹이 빈도는 고라니․노루가 멧돼지의 1.2배로 비슷하다.

단일 종으로는 잣, 호두, 밤 등 고소득 견과류에 피해를 주는 청설모가 먹이의 5.7%로 가장 많았고, 이는 담비 1무리(3마리)가 연중 75마리의 청설모를 사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더불어 양봉에 피해를 많이 주는 말벌이 전체 먹이의 2.4%를 차지했다. 전체 먹이의 6.2%가 꿀인데, 곤충은 꿀벌의 천적인 말벌만 먹었고, 섭식한 말벌의 50% 이상이 여왕벌이어서 말벌 개체군의 조절자 역할이 가능하다.

무선추적결과로는 담비의 행동권이 22.3~59.1㎢로 매우 넓어 생태계의 우산종(Umbrella species)으로서 가치가 큰 것으로 기대됐다.

▲ 먹고 남은 고라니 사체에 담비가 다시 방문하여 먹고 있다.
▲ 먹고 남은 고라니 사체에 담비가 다시 방문하여 먹고 있다.

담비는 멧돼지(5.1㎢), 삵(3.7㎢), 오소리(1.2㎢), 너구리(0.8㎢) 등의 행동권에 비해 10~20배가량 컸으며, 어미로부터 독립한 새끼는 40km 이상 멀리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호지역의 설정, 생태축 복원, 생태통로 조성 등에 활용 가치가 크다.

또한 담비는 국립공원 등의 탐방객 관리 정책에도 활용 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됐다. 활동의 92.7%가 낮 시간인 6시~19시 사이에 이뤄지며, 이동과 영역표시는 능선부의 오솔길을 이용해 다른 야생동물 보다 등산객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을 것으로 판단됐다. 따라서 이러한 활동특성을 이용해 보호지역 내의 탐방객과 탐방로의 적정 인원수, 개방 기간 등의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과학원은 이러한 담비의 높은 보호․활용 가치를 유해 야생동물, 생태축, 보호지역 등의 관리 정책에 구체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
 
▲ 어미로부터 독립한 어린 담비의 이동 경로 - 2011년 4월에 지리산(전남 구례)에서 태어난 담비(암컷)가 2012년 4월 24일에 어미로부터 독립, 새로운 서석지를 찾아 이동한 경로로서 5월 4일에 전남 순천시 송광면을 지나 이동하던 중 로드킬로 사망했다.
▲ 어미로부터 독립한 어린 담비의 이동 경로 - 2011년 4월에 지리산(전남 구례)에서 태어난 담비(암컷)가 2012년 4월 24일에 어미로부터 독립, 새로운 서석지를 찾아 이동한 경로로서 5월 4일에 전남 순천시 송광면을 지나 이동하던 중 로드킬로 사망했다.

저작권자 © 참좋은환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