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생물학적 모기 방제기술 개발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곤충 잔물땡땡이의 유충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으로 모기를 잡는 기술이 개발됐다.

잔물땡땡이는 곤충강 딱정벌레목 물땡땡이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주로 연못, 습지 등에서 살며 물속에서 알-유충(애벌레)-번데기-성충(날벌레)의 성장과정을 거친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모기 유충의 천적인 잔물땡땡이 유충을 활용하여 모기를 잡는 생물학적 방법과 전자 장비를 이용해 모기 발생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디지털 방법을 연계한 종합 모기방제(防除)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전자 장비를 이용해 모기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지역을 파악한 후, 해당 지역에 대량 사육장비로 확보한 잔물땡땡이 유충을 투입하여 모기 유충을 잡는 친환경 방제기술이다.

다양한 천적생물을 이용한 모기방제 연구사례는 많지만 잔물땡땡이를 활용해 모기 유충을 잡는 기술은 이번이 처음이다.

 
 
잔물땡땡이는 유충 단계에서 물속의 모기 유충을 포식하며 성장하고 성충이 된 후에는 물속 동․식물의 사체를 먹는 청소부 역할을 한다.

잔물땡땡이 암컷이 낳은 한 개의 알집에서는 약 70마리 유충이 부화하며, 특히 3령 단계의 잔물땡땡이 유충 한 마리는 하루에 900마리 이상 모기 유충을 포식할 수 있어 탁월한 모기 방제 능력을 보여준다. 잔물땡땡이는 약 25일의 유충기를 가지며, 1령(갓 부화한 상태)-2령(한 번 탈피)-3령(두 번 탈피)으로 성장, 3령 유충 크기는 약 4~4.5cm에 이른다.

또한 잔물땡땡이는 기존의 다른 천적 생물들과 비교하여 친환경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량 공급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잔물땡땡이는 대량사육 및 공급이 용이하고, 수면에서 대기호흡을 하기 때문에 모기유충과 생활환경이 유사하며 성충으로 자라면서 초식성을 띄게 되어 수중 생물다양성 감소의 위험이 적다.

이번 잔물땡땡이 활용 모기 방제기술 개발은 고려대학교(연구책임자 배연재 교수) 연구팀의 연구 아래, 2011년부터 2016년 4월까지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 잔물땡땡이 대량사육시스템 전경
▲ 잔물땡땡이 대량사육시스템 전경
연구팀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에 위치한 고려대 부설 덕소농장에서 잔물땡땡이의 대량 사육장비 개발 및 기술 현장적용을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연구팀은 지난 2013년 말 서울시 영등포구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영등포구 당산공원의 인공 연못에 실제 잔물땡땡이를 방류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2013년 8월 약 620마리 포집된 모기 수가 2014년 8월에는 100마리 이하로 현저하게 감소했다.

또한 모기 개체수를 집계하는 전자 장비(DMS, Digital Monitoring System)는 모기만 측정하는 감지기를 통해 모기를 자동 계수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에게 무선으로 송신하여 많은 지역의 모기 발생량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DMS는 모기 계수기능 뿐만 아니라 알을 낳는 암모기만을 유인하여 직접 포획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어 모기 방제에도 효과적이다.

 

 

저작권자 © 참좋은환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